본문 바로가기

고등수학

수능 수학 선택 과목, 확통·미적·기하 중 어떤 것이 더 유리할까?

728x90
반응형
SMALL

2022 수능 개편 이후,
수학 선택과목(확률과 통계 / 미적분 / 기하)의 선택은
단순히 "하고 싶은 과목"이 아닌,
등급과 표준점수 전략이 되어버렸습니다.

학생마다 성향과 실력이 다르기 때문에,
본인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✅ 선택 과목별 특징 비교


① 확률과 통계 (확통)

적합 대상: 수학이 약하거나, 상위권을 포기한 학생

  • 문제 유형이 반복적이며 계산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음
  • 추상 개념보다는 직관적이고 통계적 해석 중심

주의할 점

  • 선택자 수가 적고, 상위권 학생 비율이 낮아 표준점수에서 불리
  • 수능에서 고득점자는 거의 없음

요약

하위권 학생이라면 현실적인 선택.
등급 방어는 쉽지 않아도, 기본 점수 확보용으로 유효.


② 미적분 (미적)

적합 대상: 중상위권 이상, 계산 실력 좋은 학생

  • 고난도 함수 문제, 미분·적분 개념 연계
  • 수능 킬러문제의 핵심 영역

장점

  • 선택자가 많아 표준점수 상에서 유리
  • 자연계 지원 시 대부분 필수

요약

상위권 진입을 노린다면 미적이 필수.
단, 기초 없는 상태에서 무리하게 선택하는 것은 위험.


③ 기하와 벡터 (기벡)

적합 대상: 기하 감각이 뛰어난 소수

  • 도형, 벡터의 정교한 이해 필요
  • 선택자 수 극히 적음 → 표준점수 고득점 가능

요약

대학에서 기하 전공 예정자 등 특수 목적 학생 외에는 비추천.


✅ 전략적 선택 요약

과목추천 대상난이도등급 유리성현실성
확통 수학 기초 약한 하위권 ★★☆☆ 낮음 높음
미적 중상위권 이상 ★★★☆ 높음 일반적
기벡 기하 전공자급 ★★★★ 유리 낮음
 

📝 마무리

과목 선택은
✔️ 나의 계산력
✔️ 목표 등급
✔️ 진학 방향
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
‘잘하는 과목’보다 ‘끝까지 붙들 수 있는 과목’을 선택하세요.
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