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SMALL
2022 수능 개편 이후,
수학 선택과목(확률과 통계 / 미적분 / 기하)의 선택은
단순히 "하고 싶은 과목"이 아닌,
등급과 표준점수 전략이 되어버렸습니다.
학생마다 성향과 실력이 다르기 때문에,
본인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✅ 선택 과목별 특징 비교
① 확률과 통계 (확통)
적합 대상: 수학이 약하거나, 상위권을 포기한 학생
- 문제 유형이 반복적이며 계산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음
- 추상 개념보다는 직관적이고 통계적 해석 중심
주의할 점
- 선택자 수가 적고, 상위권 학생 비율이 낮아 표준점수에서 불리
- 수능에서 고득점자는 거의 없음
요약
하위권 학생이라면 현실적인 선택.
등급 방어는 쉽지 않아도, 기본 점수 확보용으로 유효.
② 미적분 (미적)
적합 대상: 중상위권 이상, 계산 실력 좋은 학생
- 고난도 함수 문제, 미분·적분 개념 연계
- 수능 킬러문제의 핵심 영역
장점
- 선택자가 많아 표준점수 상에서 유리
- 자연계 지원 시 대부분 필수
요약
상위권 진입을 노린다면 미적이 필수.
단, 기초 없는 상태에서 무리하게 선택하는 것은 위험.
③ 기하와 벡터 (기벡)
적합 대상: 기하 감각이 뛰어난 소수
- 도형, 벡터의 정교한 이해 필요
- 선택자 수 극히 적음 → 표준점수 고득점 가능
요약
대학에서 기하 전공 예정자 등 특수 목적 학생 외에는 비추천.
✅ 전략적 선택 요약
과목추천 대상난이도등급 유리성현실성
확통 | 수학 기초 약한 하위권 | ★★☆☆ | 낮음 | 높음 |
미적 | 중상위권 이상 | ★★★☆ | 높음 | 일반적 |
기벡 | 기하 전공자급 | ★★★★ | 유리 | 낮음 |
📝 마무리
과목 선택은
✔️ 나의 계산력
✔️ 목표 등급
✔️ 진학 방향
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‘잘하는 과목’보다 ‘끝까지 붙들 수 있는 과목’을 선택하세요.
728x90
반응형
LIST
'고등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고1 수학 수행평가 독후감 추천 도서 10권 + 예시문 정리 (5) | 2025.06.11 |
---|---|
학교 내신을 망쳤다고 인생이 망하는 건 아닙니다 (1) | 2025.05.30 |
시험공부 못했을 때 수학 찍기 전략 | 생존 꿀팁 모음! (0) | 2025.04.27 |
곱셈공식, 아직도 헷갈려? 단번에 외우는 꿀팁 5가지 정리! (1) | 2025.04.26 |
수학 시험 하루 전, 뭘 해야 할까? | 불안할수록 정리하고 쉬어야 할 타이밍! (1) | 2025.04.24 |